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전 시티즌/2017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전 시티즌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대전 시티즌/2017년/K리그 챌린지
,
,
,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0%>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0%>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width=20%>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width=20%> 파일:부천 FC 1995 10주년 엠블럼.svg
||<width=20%>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height=80>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파일:수원 FC 로고.svg
|| 파일:아산 무궁화 FC 엠블럼.svg
||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파일:FC 안양 로고.svg
||
||<-2><bgcolor=#ee3224> ◀ K리그1 참가 구단 ||<|2> ||<-2><bgcolor=#47b035> 내셔널리그 참가 구단 ▶ ||
||<-2><bgcolor=#0067ac> ◀ 2016년 참가 구단 ||<-2><bgcolor=#0067ac> 2018년 참가 구단 ▶ ||
||<-5><bgcolor=#444444> 과거 참가 구단 ||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대전 시티즌 역대 시즌
2016 시즌2017 시즌2018 시즌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대전 시티즌 2017시즌
구단주권선택
단장 윤정섭
감독 이영익[1]김종현[2]
수석코치 김종현
주장 김진규
부주장 이호석, 장원석
결과
파일:K리그 챌린지(2013~2017) 로고(가로형).svg10위
(36전 6승 11무 19패 41득점 60실점)
파일:KEB하나은행 FA컵 로고.svg16강 탈락
(3전 2승 1패 5득점 3실점)
합산 성적[A]39전 8승 11무 20패 46득점 63실점
최다 득점[A]크리스찬 (12득점)
최다 도움[A]이호석 (6도움)

1. 보드진 / 코칭 스태프
2. 선수단
3. 이적 시장
3.1. 겨울 이적 시장
3.1.1. 영입
3.1.2. 방출
3.2. 여름 이적시장
3.2.1. 영입
3.2.2. 방출
4. 프리시즌
4.1. 동계 전지 훈련
4.2. 연습 경기
5. 20주년 엠블렘, 유니폼
6. 시즌
6.1.1. 정규 리그
6.2.1. 3라운드 VS 천안시청 축구단 (원정, 1:2 승)
6.2.2. 32강 VS 영남대학교 (홈, 2:0 승)
6.2.3. 16강 VS 전남 드래곤즈 (홈, 1:2 패)
7. 시즌 평가
7.1. 수상 내역
7.2. 시즌 총평
7.3. 차기 대전의 감독은?

Luce in Altis


1. 보드진 / 코칭 스태프[편집]


대전 시티즌 2017 시즌 코칭스태프 명단
직책이름영문 이름국적생년월일
감독 대행김종현Kim, Jong Hy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7월 10일
코치방호진Bang, Ho J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7년 12월 12일
GK코치제제Jose Luiz de Oliveira Junior파일:브라질 국기.svg1977년 3월 38일
스카우트박철Park, Chul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8월 20일
스카우트김영근Kim, Young Ke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10월 12일
재활트레이너이규성Lee, Kyu Seo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12월 21일

2. 선수단[편집]


대전 시티즌 2017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이름영문 이름포지션국적생년월일
1전수현Jeon, Su Hyun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8월 18일
2김해식Kim, Hae Sik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2월 12일
3장원석Jang, Won Seok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4월 16일
4문진용Mun, Jin Yo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1년 12월 14일
5김태은Kim, Tae Eun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9월 21일
6황인범Hwang, In Beom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9월 20일
7레반Levan ShengeliaFW파일:조지아 국기.svg1995년 10월 27일
8김대열Kim, Dae Yeol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4월 12일
9이현승Lee, Hyun Seu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12월 14일
10크리스찬Cristian Costin DănălacheFW파일:루마니아 국기.svg1982년 7월 15일
11황지웅Hwang, Ji Woo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4월 30일
12박재우Park, Jae Woo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10월 11일
13신학영Shin, Hak Yeo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4년 03월 04일
14김태봉Kim, Tae Bo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2월 28일
15장준영Jang, Jun You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2월 4일
16김성수Kim, Sung Soo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12월 26일
17이호석Lee, Ho Seok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1년 5월 21일
19정민우Jung, Min Woo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12월 1일
20김진규Kim, Jin Kyu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2월 16일
22윤신영Yoon, Shin You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5월 22일
23전상훈Jun, Sang Hoon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9월 10일
24김찬희Kim, Chan Hee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6월 25일
26조상범Jo, Sang Bu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4년 1월 1일
27박주성Park, Joo Su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2월 20일
28박대훈Park, Dae Hoon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3월 30일
29임준식Lim, Jun Sik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7년 2월 14일
30황재정Hwang, Jae Jeo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8년 7월 6일
31이영창Lee, Yeong Chang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1월 10일
32강윤성Kang, Yun Seo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7년 7월 1일
33박우정Park, Woo Jeo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7월 26일
37브루노Bruno CantanhedeFW파일:브라질 국기.svg1993년 7월 22일
41김기용Kim, Ki Yong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12월 7일
55윤준성Yoon, Jun Su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9월 28일


3. 이적 시장[편집]



3.1. 겨울 이적 시장[편집]


2016시즌을 끝으로 사의로 표명한 윤정섭 사장의 유임시키고 10대 감독을 과거 대전의 전성기였던 2007년 수석코치로 일하던 이영익 경남 수석코치가 대전의 10대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시티즌 팬들은 과거 논란의 중심이었던 인물의 복귀에 찬반이 나뉘고 있다.

이영익은 경험있는 선수들 위주의 선수단을 선언하며 2014시즌 대전의 승격주역인 장원석 영입을 시작으로 2016시즌 리그 득점 2위와 도움 1위였던 크리스찬이호석을 영입하였으며, 2016년 잇츠대전축구대회에서 대전을 상대로 득점을 성공시켰던 AFC 튀비즈의 레반 셍겔리아를 임대해왔으며, 국가대표 출신으로 월드컵에도 출전했던 스타플레이어 김진규를 영입해 주장으로 선임하며 고종수 영입 이후 가장 네임벨류 있는 선수 영입을 성공하였으며, 제주로부터 골키퍼 전수현을 영입하며 군입대한 박주원의 공백을 메꾸었다.

한편 3월 12일 우승기원제가 개최되었고, 이날 이영익은 개막전에서 3만관중을 기록하며 팬들중 3명을 선정해서 원하는 소원을 들어주겠다는 다소 위험한 공약을 내세우기도 하였다.물론 개막전에서 3만명이 오지는 않았다. 일부로 안올줄 알고 말한거 아냐?



3.1.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 이전 구단 방식 비고
공용훈성균관대학교자유계약신인
조상범호남대학교자유계약신인
박우정경희대학교자유계약신인
황재정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우선지명신인
장원석제주 유나이티드트레이드-
김진규파지아노 오카야마이적-
레반AFC 투비즈임대-
김정주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자유 계약-
김태은서울 이랜드 FC이적-
전수현제주 유나이티드이적-
김기용부산 아이파크이적-
정민우수원 FC이적-
한승엽FA[3]자유계약-
이영창충주 험멜자유 계약-
이호석경남 FC자유 계약-
크리스찬경남 FC이적-
신학영경남 FC이적-
김대열대구 FC자유 계약-
페드로세파한 FC이적-
윤신영레노파 야마구치자유 계약-
안일주경주 한국수력원자력자유 계약-
문진용대구 FC이적-
김성수고양 자이크로 FC자유 계약-
강승조FC 서울자유 계약-

3.1.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 이후 구단 방식 비고
진대성상주 상무임대 복귀복귀 후 입대
고민혁서울 이랜드임대 복귀복귀 후 이적
구스타보알샤바브임대 복귀복귀 후 이적
김선민대구 FC이적
김동찬BEC 테로 사사나자유 계약
이동수제주 유나이티드트레이드
이범수경남 FC이적
유승완경주 한국수력원자력이적
김지철-자유계약
김형진FC 안양이적
우현송클라 유나이티드이적
박준경은퇴자유계약현재 동신중학교 코치
오창현화성 FC이적
염광빈이천 시민축구단자유계약
최영효화성 FC자유계약
오혁진방출군입대
김병석서울 이랜드이적
장클로드방출[4]자유계약
강영제화성 FC자유 계약
변정석춘천 시민축구단자유 계약
김동곤이천 시민축구단자유 계약


3.2. 여름 이적시장[편집]


2017시즌 중반 강승조를 내주는 대신 전상훈박주성 두명을 데려오는 2:1 트레이드를 감행함과 동시에 2014년 대전의 승격의 주역이였던 김찬희가 공익 근무를 마치자 재영입하였고, 브라질 용병 브루노를 영입하였다. 크리스찬을 비롯한 공격수들과의 경쟁에서 밀린 한승엽천안시청으로 이적보냈으며, 조예찬김정주, 남윤재 3명을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으로 임대보냈으며, 공용훈은 김해시청으로 임대보냈다. 또한 올시즌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한 사실상의 잉여자원이였던 페드로와 안일주도 과감히 내보냈다.

한편 대전을 떠난 후 페드로는 대전 구단 페이스북에 의미심장한 댓글을 남겼었다.

파일:a45952c5-b50c-4fdc-8277-f5499b7525e1.jpg

"불행하지만 난 모든 선수들을 위해 슬퍼하고 있다. 근데 우리가 뭐 할수 있어? 코칭스태프들이 다 무능했다."


페드로는 리그 단한경기도 못뛰고 방출된 선수인만큼 저런 댓글 그저 변명이 지나지 않을 것이며 그런 페드로 역시 잘한거 하나 없을 것이겠지만 이를 통해 분명 대전 선수들 중에도 감독이 무능하다 생각하고 믿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 페드로 말고도 분명 더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수 있으며, 어찌됐든 대전의 구성원이자 선수인 페드로가 이렇게 된 것, 그리고 이런 선수를 영입한 것도 엄연히 말하면 감독의 책임이라 봐야한다. 설령 페드로가 원래부터 문제가 있었던 선수였다고 한들, 그런 선수를 영입한 감독의 잘못 역시 크다고 할수 있다.

3.2.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 이후 구단 방식 비고
전상훈경남 FC트레이드-
박주성경남 FC트레이드-
브루노하포엘 이로니자유계약-
김찬희포천 시민축구단자유계약-

3.2.2. 방출[편집]



4. 프리시즌 [편집]



4.1. 동계 전지 훈련[편집]


대전 시티즌 2018 시즌 동계 전지훈련
차수지역전지훈련 개시전지훈련 종료
1차파일:통영시 CI.svg 경상남도 통영시2017년 01월 05일2017년 01월 19일
2차파일:무르시아 기.svg 스페인 무르시아2017년 01월 23일2017년 02월 11일
3차파일:거제시 CI.svg 경상남도 거제시2017년 02월 15일2017년 02월 25일


4.2. 연습 경기[편집]




5. 20주년 엠블렘, 유니폼[편집]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20주년 기념로고
대전 구단은 창단 20주년을 맞이해 기념 엠블렘을 제작하였고, 엠블렘 디자인은 기존 엠블렘 제작자이기도한 장부다 디자이너가 맡았다.
원래는 1월 7일 대전월드컵경기장 중회의실에서 공개될 예정이였으나.......

파일:PicsArt_01-04-04.06.07.jpg

전수현 선수의 영입 과정에서 엠블렘이 조기 유출되며 논란이 일었다.
한편 이번 엠블렘의 경우 기본 색상을 2000년 시즌과 2001년 시즌에 조금씩 변화했던 자주색을 통일시켜 표준화 하였고, 피와 투쟁정신을 결합한 핏빛 자주색으로 정하고 ‘Bloody Purple’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또한 기존 엠블럼의 핵심요소인 백제 금동대항로 상단의 봉황과 중앙의 십자, DCFC 영문자 배열을 그대로 가져오면서 원형의 테두리에 양쪽에는 대전을 의미하는 한자인 大(큰 대)와 田(밭 전)을 형상화시켜 디자인에 적용했다. 엠블럼 중앙의 십자 역시 대전의 전(田)자를 형상화하였으며,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교통의 핵심 요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엠블럼에 사용된 슬로건 '루체 인 알티스(Luce In Altis)'는 라틴어로 '높은 곳에서 빛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홈&어웨이골키퍼
파일:external/file2.instiz.net/f6156fb12ae682c5e707d036c6e931e2.jpg 파일:external/file2.instiz.net/a621aedf0a0da08b431a1d2326fedfa5.jpg파일:external/file2.instiz.net/4d6593f0e54ec68081ef40941e23da80.jpg 파일:external/file2.instiz.net/3ca213df774aa95224a7402dad77cc06.jpg

또한 20주년 기념 유니폼에는 기존의 유니폼 중앙에 인쇄돼있던 하나은행을 빼고 1997시즌과 마찬가지로 대전시티즌 구단명을 배치하였으며, 정말 오랜만에 원정 유니폼 색상을 하얀색이 아닌 다른색으로 했다.


6. 시즌[편집]



6.1. K리그 챌린지[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7시즌 대전 시티즌 K리그 결과에 대한 내용은 대전 시티즌/2017년/K리그 챌린지 문서
대전 시티즌/2017년/K리그 챌린지번 문단을
대전 시티즌/2017년/K리그 챌린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 정규 리그[편집]


파일:K리그 챌린지(2013~2017) 로고(가로형).svg2017 K리그 챌린지
정규리그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관중 수비고
13월 4일원정안산 그리너스 2 - 1이호석(49')8,405[5]
23월 12일성남 FC 1 - 1이호석(36')6,623[6]
33월 18일서울 이랜드 FC 2 - 1크리스찬(5'), 이호석(58')1,447[7]
43월 26일원정경남 FC 2 - 1크리스찬(80')1,228-
54월 1일FC 안양 0 - 2-2,702-
64월 8일아산 무궁화 1 - 1신학영(87')1,129-
74월 15일원정부천 FC 1995 1 - 1정민우(27')2,014-
84월 22일부산 아이파크 2 - 3김태봉(9'), 크리스찬(52')1,766-
94월 30일원정수원 FC 3 - 1크리스찬(75')1,949-
105월 3일원정FC 안양 3 - 2크리스찬(21'), 레반(58')1,743-
115월 7일경남 FC 0 - 2-3,129-
125월 14일원정부천 FC 1995 1 - 0-1,901[8]
135월 21일원정성남 FC 1 - 0-2,997-
156월 6일원정부산 아이파크 2 - 1레반(25')1,445-
166월 12일수원 FC 4 - 3레반(51'), 장준영(61'), 황인범(82'), 크리스찬(91')1,027[9]
176월 17일안산 그리너스 1 - 2레반(91')4,130-
186월 26일원정서울 이랜드 FC 3 - 3이호석(56'), 박대훈(77'), 크리스찬(92')717-
197월 3일FC 안양 2 - 0김찬희(72'), 브루노(85')1,063-
207월 9일부천 FC 1995 1 - 2-1,218-
217월 15일아산 무궁화 1 - 1브루노(13')2,167-
227월 22일원정안산 그리너스 1 - 1크리스찬(92')2,351-
238월 5일수원 FC 2 - 0황인범(75'), 크리스찬(81')1,553-
248월 13일부산 아이파크 0 - 0-1,529-
258월 20일서울 이랜드 FC 0 - 1-1,032-
268월 23일원정경남 FC 4 - 2정민우(18', 42')844-
278월 27일성남 FC 1 - 4정민우(82')1,819-
289월 3일원정부산 아이파크 4 - 2브루노(81', 87')1,024[10]
299월 10일원정아산 무궁화 1 - 2김찬희(88'), 황인범(92')1,612[11]
309월 16일경남 FC 2 - 1황인범(52'), 레반(89')1,924[12]
319월 23일원정수원 FC 3 - 2김찬희(20'), 박대훈(89')1,370[13]
149월 27일원정아산 무궁화 3 - 1이호석(84')726[14]
329월 30일원정서울 이랜드 FC 0 - 0-1,522-
3310월 7일원정FC 안양 0 - 0-1,798-
3410월 15일부천 FC 1995 0 - 1-3,735-
3510월 22일원정성남 FC 1 - 1이현승(82')2,383[15]
3610월 29일안산 그리너스 1 - 1김찬희(82')2,428[16]


6.2. 대한축구협회 FA컵[편집]


파일:KEB하나은행 FA컵 로고.svg2017 KEB하나은행 FA컵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3R2017-03-29원정천안시청 축구단2:1한승엽(11'), 크리스찬(85')
32강2017-04-19영남대학교2:0크리스찬(60', 88')
16강2017-05-17전남 드래곤즈1:2장준영(58')

6.2.1. 3라운드 VS 천안시청 축구단 (원정, 1:2 승)[편집]


파일:KEB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17 KEB하나은행 FA컵 3라운드
2017년 3월 29일 (수요일) 19:00
천안축구센터 (천안)
주심 : 오현진
관중 : 250명
파일:emb_10.png
1 : 2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천안시청 축구단대전 시티즌
18' 오영준파일:득점 아이콘.svg11' 한승엽
85' 크리스찬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3월 29일 천안축구센터에서 열린 천안시청 축구단과의 FA컵 3라운드 경기서 한승엽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리드를 오래 유지하지 못한채 동점골을 허용했으며, 후반 들어 교체 투입된 크리스찬이 후반 막판의 골을 앞세워 2:1 승리를 거두어 32강 진출을 성공하였다.


6.2.2. 32강 VS 영남대학교 (홈, 2:0 승)[편집]


파일:KEB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17 KEB하나은행 FA컵 32강
2017년 4월 19일 (수요일) 19:30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
주심 : 임원택
관중 : 254명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2 : 0
파일:영남대 축구부.png
대전 시티즌영남대학교
60', 88' 크리스찬파일:득점 아이콘.svg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4월 20일 영남대학교와의 FA컵 32강 경기서 대전은 전반에는 끈끈한 조직력과 패싱축구를 앞세운 영남대의 골문을 열지 못했으나, 후반 들어 크리스찬이 멀티골을 기록하며 2:0 승리를 거두었고,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6.2.3. 16강 VS 전남 드래곤즈 (홈, 1:2 패)[편집]


파일:KEB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17 KEB하나은행 FA컵 16강
2017년 5월 17일 (수요일) 19:00
보은공설운동장 (보은)
주심 : 설태환
관중 : 459명
파일:대전 시티즌 20주년 기념로고.svg
1 : 2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2014~2021).svg
대전 시티즌전남 드래곤즈
58' 장준영파일:득점 아이콘.svg27' 페체신
72' 유고비치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5월 17일 U-20 월드컵 개최상 보은공설운동장에서 치러진 전남 드래곤즈와 FA컵 16강을 치른 대전은 페체신과 유고비치를 앞세운 전남 공격진에 내리 2골을 허용하며 2:1로 패해 FA컵에서 탈락했고, 6연패의 늪에 빠졌다.

7. 시즌 평가[편집]



7.1. 수상 내역[편집]




7.2. 시즌 총평[편집]


대전 구단은 경험없고 검증되지 않은 지도자와 대표이사 선임의 한계를 또다시 드러내며 자멸해버렸다.

시즌 전 경험 없는 이영익 감독 선임에 있어서 했던 우려가 현실이 되었고, 대전 팬으로서는 이영익한테도 역시 앞선 최문식이나 김인완같이 구단에는 어떠한 이득도 없이 신인 감독이 지도자로서의 경험과 역량만 쌓고 가는 구단이 돼버려서 또 다시 맘 상해 하고 있다.

또한 이영익은 대전 구단과의 첫번째 작별과 마찬가지로 두번째 작별 역시 상당히 불명예스럽게 했다.설마 세번째로도 오는 것은 아니겠지?

많은 대전팬들은 김인완 감독 때는 올해같은 최악의 시즌은 다시는 없을 것이라 생각했고, 최문식 감독 때도 올해같은 최악의 시즌은 다시는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걸 비웃기라도 한듯 대전 구단은 정말 상상 그 이상을 매년 선보이고 있으며, 앞으로는 또 어떤 더 무지막지한 감독이 대전에 와서 개막장 시즌을 팬들에게 선사할지 벌써부터 공포감을 주고 있다.

그래도 2013시즌은 막판에 감독 대행이 다음 시즌을 기대케라도 했지, 올 시즌의 경우 김종현 대행이 자신의 능력 선에서는 나름 최선을 다해주기는 했지만 기대는 커녕 오히려 내년이 더 걱정스럽게 돼버렸다.


7.3. 차기 대전의 감독은?[편집]


시즌 중반 이영익 감독이 사임하면서 누가 차기 대전 시티즌의 감독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 대전팬들 사이에서 두명이 가장 많이 언급이 되었으며, 그 두명은 김종현 감독 대행과 김은중이였다.

김종현은 시즌 중반 감독 대행으로 부임해 특유의 형님 리더쉽으로 아산 무궁화경남 FC와의 리그 2연전에서 기적같은 역전승을 거두며 급속도로 차기 정식 감독으로 승진시켜야한다는 여론이 조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김종현의 능력은 거기까지였다. 김종현이 나름 자신의 능력 내에서는 최선을 다하며 대전시티즌 선수단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팀으로 만들긴 했지만, 이후 7경기 무승을 거두며 끝내 리그 최하위를 피하지 못하면서 자연스럽게 김종현이 정식 감독으로 승진시키자는 여론 역시 줄어들었으며, 김종현이 대전의 정식 감독으로 승진하는 것 역시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김은중의 경우 시즌 중반 AFC 투비즈 감독 대행직을 잘 수행한 후 벨기에를 떠나 대전 시티즌의 경기를 관전하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팬들 사이에서 차기 감독후보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김은중이 대전 구단의 레전드로서 누구보다 대전 구단의 현실과 상황을 잘 파악하고 이해할 것이며 그만큼 대전 구단에 헌신할 것이라는 의견과 김은중은 아직 지도자로서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기상조이며, 자칫 과거 선수시절 대전 구단에서 쌓았던 명성과 추억을 잃을 수도 있다는 등의 의견으로 김은중 감독 선임에 있어서 의견이 갈렸다.

하지만 10월 김봉길 감독을 따라 아시안게임 대표팀 코치로 부임하면서 김은중의 감독 선임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11월 1일 이기범 신갈고등학교 감독이 선임하였으나, 팬들의 반발로 이를 번복하고 고종수를 신임 감독으로 내정하였다.또 신인이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5:41:09에 나무위키 대전 시티즌/2017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월 31일 사퇴[2] 감독대행[A] A B C 합산성적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3] 이전 소속팀은 빈즈엉[4] 시즌 중반 덴마크의 코이에로 이적하였다.[5] 시즌 개막전 패배[6] 시즌 홈 개막전[7] 시즌 첫승, 이영익 감독 데뷔승[8] 리그 최하위[9] 구단 200승[10] 김종현 감독대행 첫 경기[11] 시즌 첫 원정 승[12] 시즌 첫 연승[13] 2년 연속 승강플레이오프 진출 좌절[14] 순연 경기[15] 2017 K리그 챌린지 최하위 확정[16] 시즌 마지막 경기